반응형
2025 동아시안컵 결승 한일전, 한국 vs 일본 승부의 향방은? 줄거리, 전력 비교, 관전 포인트, 주요 선수 분석까지 총정리. 7월 15일 밤 7시 24분 킥오프
오는 7월 15일 밤 7시 24분, 대한민국과 일본이 맞붙는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결승전이 경기도 용인미르스타디움에서 펼쳐집니다. 한국과 일본 모두 대회 2연승으로 결승에 올랐고, 이번 맞대결에서 이기는 팀이 대회 정상에 오르는 사실상 결승전 성격의 한일전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번 결승 한일전의 배경, 전력 비교, 역사적 의미, 주요 선수 분석, 관전 포인트까지 심층적으로 분석해드립니다.
동아시안컵 결승 한일전 기본 정보
구분 내용
대회 |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동아시안컵) |
경기일시 | 2025년 7월 15일(화) 오후 7시 24분 |
경기장 | 경기도 용인미르스타디움 |
중계 | KBS 2TV, TV조선, 온라인 스트리밍 예정 |
대회방식 | 풀리그 방식 (승점 동일 시 골득실 순위) |
대회특징 | FIFA A매치 기간 아님, 유럽파 미출전 |
2025 EAFF E‑1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생중계 및 방송 정보
- 쿠팡플레이 ‘스포츠 패스’를 통해 남자 대표팀 포함 전 경기 실시간 시청이 가능합니다
- 쿠팡 와우 회원이라면 스포츠 패스 이용 가능
- 대표팀 A매치가 아님에도 전 경기를 볼 수 있습니다
- TV 중계 채널:
- 남자 대표팀 경기: TV조선 단독 중계
- 여자 대표팀 경기: 쿠팡플레이 7/13일 한·일전 포함, 생중계
한국과 일본, 결승까지의 여정
대한민국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은 이번 대회에서 탄탄한 수비력과 고른 득점력을 선보였습니다.
- 1차전: 중국전 3-0 완승
- 2차전: 홍콩전 2-0 승리
- 득점: 주민규, 이호재, 강상윤, 이동경, 김주성 등 다양한 선수들이 득점
- 특징: 무실점 2연승, 안정된 조직력
일본
모리야스 하지메 감독이 이끄는 일본은 막강한 공격력을 자랑하며 결승에 올랐습니다.
- 1차전: 홍콩전 6-1 대승
- 2차전: 중국전 2-0 승리
- 득점: 저메인 료(데뷔전 4골), 이나키 쇼, 나카무라 소타, 호소야 마오, 모치즈키 헨리 헤로키
- 특징: 총 8득점 1실점, 골득실 +7로 한국에 앞섬
이번 한일전의 승부 공식
대회 규정에 따라 연장전 없이 90분 정규시간 내 승부가 결정됩니다.
- 한국 승리 → 한국 통산 6번째 우승, 개최국 2회 우승 달성
- 일본 승리 → 일본 2연속 우승, 통산 3번째 정상 등극
- 무승부 → 일본 골득실 우세로 우승 (+7 vs +5)
즉, 한국은 반드시 승리가 필요하며 일본은 무승부만으로도 우승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역사적 의미: 어느 팀이 이겨도 새 역사
한국
- 동아시안컵 통산 6번째 우승 도전
- 2019년 이후 6년 만의 우승 기회
- 개최국 2회 우승 기록 (2019, 2025) 가능
일본
- 2022년 대회에 이어 2연속 우승 도전
- 통산 3회 우승으로 단독 2위 등극
- 한국의 3연패 기록(2015~2019)에 도전하는 연속 우승
한일전 역대 성적 비교
구분 전적
역대 한일전(A매치) | 한국 42승 23무 16패 |
동아시안컵 한일전 | 한국 3승 3무 3패 (완전한 균형) |
최근 동아시안컵 한일전 결과
- 2017년: 한국 4-1 일본 (김신욱 멀티골)
- 2019년: 한국 1-0 일본 (황인범 결승골)
- 2022년: 일본 3-0 한국 (벤투호 완패)
한국은 최근 3번의 동아시안컵 최종전 한일전에서 2승 1패로 우위에 있습니다.
주요 선수 분석
대한민국
- 주민규(대전하나시티즌): 1차전 중국전 결승골 주인공
- 이호재(포항 스틸러스): 2차전 홍콩전 추가골
- 강상윤(전북 현대): 빠른 돌파와 날카로운 슈팅
- 김주성(FC서울): 수비진의 중심
일본
- 저메인 료(산프레체 히로시마): 홍콩전 데뷔전 4골
- 이나키 쇼(나고야 그램퍼스): 중국전 공격 선봉
- 호소야 마오(가시와 레이솔): 측면 돌파와 크로스 능력
관전 포인트 TOP 5
- 홍명보 감독의 복수전
- 2022년 일본 대회 0-3 패배의 설욕 가능성
- 득점력 vs 무실점 행진
- 일본의 8득점 공격력과 한국의 0실점 수비력 대결
- 유럽파 없는 국내파 맞대결
- K리거 vs J리거 간 순수 자존심 대결
- 최종전에서 승부 가르는 한일전
- 2017, 2019에 이어 또 한 번 최종전 한일전
- 저메인 료 vs 주민규
- 양 팀 에이스의 득점 대결
끝으로..
이번 한일전은 단순한 경기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한국은 통산 6회 우승과 개최국 2회 우승을, 일본은 2연패와 통산 3회 우승을 노립니다. 우승 타이틀이 걸린 숙명의 대결, 2025 동아시안컵 결승 한일전을 통해 동아시아 축구의 새로운 역사가 쓰일 것입니다.
반응형